사랑니 및 잔존 치근 발치 후 식립 임플란트 과정
안녕하세요, 조승기 원장입니다.
어금니는 음식을 잘게 부수는데
중요한 역할을 갖고 있습니다.
* 만약 이곳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면
음식을 씹는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소화불량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가 빠졌다면 하루빨리
그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것이
구강 건강에 있어 좋은 방법입니다.
한 가지 알아두셔야 될 것이 있습니다.
사람마다 손상된 상태도 다르고
구강 구조도 다 다르기 때문에
특이성을 고려해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그래서 같은 임플란트 케이스더라도
과정과 순서가 조금씩 달라지게 되는 겁니다.
『 뿌리만 남아있는 좌측 어금니 』

예시 사진을
관찰해보면, 뿌리만 남아있는 잔존 치근이 눈에 띕니다.

치관이 모두 상실되어 음식을 씹지도 못하고
교합고경이 무너지는 등 여러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파노라마 촬영본을 통해 확인해보면,
아래쪽 어금니 후방에는 옆으로 누워있는
사랑니가 맹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상악동과 잔존 치근과의 거리도
매우 가까운 편에 속했기에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 시 거상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이럴 경우 음식을 아예 씹을 수조차 없어
삶의 질이 많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임플란트 식립을 통해
잃어버린 기능과 심미를
되찾아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수술 전, CT 분석 』
상기 케이스와 같은 수술을 진행할 때는
CT 분석을 통해 잔존골의 양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식립 위치와 각도를 분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엑스레이 사진으로 모든 조직을
정확하게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뼈의 양도 정확히 확인이 불가하고
주요 조직 간의 위치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3D CT를 사용하여
정밀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 진단 내용을 토대로
거상술을 동반한 발치 후 즉시 식립
임플란트를 진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잇몸 상태도 좋지 않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치주치료도 함께 동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발치 후 식립 임플란트 과정 』
사진에서 사랑니의 존재도
확인됩니다.
뿌리를 제거할 때 사랑니도 함께
발치합니다.

옆으로 누워있는 수평 형태를 갖고 있다면,
잇몸 속에 묻혀 있는 매복에도 해당합니다.
한 번에 뽑다간 중간에 부러지거나
잔존 조직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분할 발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제거를 진행합니다.

이후 바로 거상술을 동반한 뒤
픽스처를 심습니다.

계획했던 위치에 맞춰 심어져 있는
고정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골화가 진행되는 데까지
약 3개월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그러나 어떻게 관리를 하느냐에 따라
더 길어지게 될 수도 있습니다.

3개월이 지나고 보철 제작을 위해
본뜨기를 진행한 뒤
어버트먼트 체결까지 진행합니다.

이후 주어진 폭, 높이에 맞춰
어금니 보철 제작을 진행합니다.
양쪽 임플란트에 지지를 얻는
브릿지 형태로 만든 모습입니다.

내부도 매끄럽게 잘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 치아들과도 조화롭게 잘 어울리고
교합도 알맞게 물리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치주치료를 동반해서 그런지
훨씬 건강하게 바뀐 구강 내 모습을 알 수 있습니다.

치아가 빠지거나 심하게 손상된 경우
위치에 상관없이 그에 따른 상실감이
매우 클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어금니는 음식을 씹는 주요 역할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신체 건강과도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이가 빠지거나 부러졌는데
여러 이유들로 진료를 미루고 계시다면
가까운 치과를 방문하여
검진을 받아보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