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 제때 뽑지 않으면 충치로 이어질 수 있다? 사랑니 발치 과정
예쁜 명칭을 갖고 있는 사랑니,
그러나 이와는 달리 우리의 속을
자주 썩이는 대표적인 치아 중 한 곳입니다.
매복되거나 누워 자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잇몸이나 인접치를 짓눌러 통증을 유발하며,
위치적 특성상 칫솔질이 닿기 어려운 곳에 있어
청결한 위생관리가 힘든 곳입니다.
즉, 충치나 염증이 생기기 딱 좋은 곳에 해당합니다.
정기 검진을 통해
전체적인 구강 건강에 있어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지,
사랑니 발치를 해야하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랑니, 잇몸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시 사진과 함께 사랑니 발치 과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하단 파노라마 예시 사진을 관찰해보면
아직 발치되지 않은 사랑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 4곳에 맹출 한 것으로 확인 됩니다.
나머지 한 곳은 매복되어 있는 형태로
구강 내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부분 매복이 되어 있거나
온전히 자라있는 곳은
위생관리가 힘들어 충치, 염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경우, 잇몸에 통증까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발치를 진행하기 전
꼭 살펴봐야 되는 곳은?
우리의 구강은 수많은 혈관과
신경, 주요 조직들이 존재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수술을 진행할 때에는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최대한 건들지 않고 진행해야 됩니다.

특히나 사랑니를 뽑을 때는
1) 하치조 신경관 (하악)
2) 상악동 (상악)
두 가지 조직을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직과의 거리가 어느정도 떨어져 있다면
문제없이 발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유의해야 될 것이 또 남았습니다.
바로 충치입니다.
썩어버린 곳은 치질이 쉽게 부서지거나
으스러질 확률이 높기 때문에
발치를 진행하는 중 잔존 조직이 남지 않도록
꼼꼼하게 제거해야 합니다.
사랑니 제거 과정
간혹 사랑니 제거를 진행할 때 또는
치아 치료 과정에서 동반되는
고통이 우려된다면
케이스에 따라 무통마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통증이
누군가에게는 큰 트라우마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 개인의 건강 상태, 판단, 치료 계획 등에
따라서 마취 여부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발치가 마무리되었다면
파노라마를 통해 내부에 남아있는 치아 조각이
없는 지 꼼꼼하게 체크 합니다.
이로써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모든 치료가 마찬가지지만,
미뤄봤자 좋을 것은 없습니다.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개선을 하는 게
앞으로의 구강 건강을 위해 좋은 방법입니다.
3-6개월에 한 번씩
정기검진받는 것을 습관화하여
스스로의 구강을 미리 지키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승기 원장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