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관과 가까운 사랑니 발치 과정
안녕하세요, 조승기 원장입니다.
사랑니는 문제가 되지 않으면
굳이 발치를 진행하지 않는 치아이지만,
안쪽 깊숙히 자리잡은 덕에
칫솔이 닿기 어려워 충치가 생기기
쉬운 환경에 속합니다.
혹여 매복 사랑니라면 발치를 해야 하기에
사랑니를 뽑아야 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이때, 사랑니가 신경관과 가까이
자리잡고 있다면 신경관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발치해야 하는
고난도 케이스에 속합니다.
1. 매복 사랑니

파노라마 엑스레이를 보시면
오른쪽 아래 어금니 부근에
옆으로 누워있는 모습으로
부분 매복되어 있는 제3대구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옆으로 누워있는 모양에 매복치라
어려운 과정에 해당합니다.
신경관과도 매우 가까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CT촬영을 통해 다각도로 살펴봐야 합니다.
2. CT 정밀 검진
CT를 찍어야 하는 이유
단면적인 모습만 확인할 수 있는 엑스레이가 아닌
CT촬영으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해야 됩니다.

CT 촬영본을 관찰해보면
하치조 신경관과의 위치가
매우 가까워져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① 매복
② 수평으로 누워있는 형태
③신경관
3가지 문제를 모두 고려한 뒤
뽑아내야 되기에 최소 절개를 진행한 후
안에 있는 치관을 분할 내어 꺼내야 됩니다.
3. 분할 발치
최소 절개를 진행한 후에
안에 숨어있는 치관을 분할합니다.
이후 조각을 하나하나 꺼내며
사랑니를 발치합니다.
이때 잔존 없이 깨끗하게 제거하는 것이
이 과정에 있어 중요합니다.

분할되어 나온 조각과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확인해
남아있는 곳 없이 깨끗하게
제거되어 있는 것을 체크한 뒤,
소독 후 마무리 하게 됩니다.
엑스레이 상으로도 다른 문제가 없는 지
확인했다면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사랑니는 문제가 없다면
발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더 많아
발치 가능성이 높은 치아에 해당합니다.
충치 외에도 위와 같이
매복이 되어 있는 경우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사랑니로 인해 고민되신다면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
먼저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