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을 편하게 먹고싶다면?, 어금니 임플란트 식립 과정
안녕하세요, 조승기 원장입니다.
우리의 구강 속에는 28개나 되는 자연치가
존재합니다.
1개쯤은 빠져도 괜찮겠지라는 생각을
하실 수도 있지만,
저마다 각자의 기능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어금니는
음식을 씹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어금니가 아프거나, 상실되어
비어있다면, 반대쪽으로만
씹게 됩니다.
이를 편측 저작이라고하며, 편측저작은
턱관절에도 영향을 주지만, 반대쪽 치아마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어금니를 조속히 치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저작운동을 담당하는
어금니를 개선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식립 과정에 대해
예시 사진과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문제점 파악

상기 예시 엑스레이 사진을 관찰해보면
윗쪽의 큰 어금니가
뿌리밖에 남지 않은 잔존치근 형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옆의 소구치는 뿌리 염증과,
우식이 심한 상태인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밑에 이는 대합되는 이가 없어서
정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내사진으로 확인 해 봤을 때,
옆에 있는 다른 이들보다
위로 올라 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소구치 치관에 우식이 심해서
치관이 많이 깨져나간 것도 확인됩니다


교합면에서 봤을 때도
잔존치근과 우식, 정출된 치아가 보여집니다
계획 수립
위쪽 어금니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을 먹을 때도 불편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윗쪽 어금니가 뿌리만 남게되었고
교합도 할 수 없기에
아래쪽 이에도 자연스레 영향이가
위로 올라오는, 정출이 된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런 경우에는 잔존치근과 우식이 심한
작은 어금니를 뽑아준 뒤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합니다.
이때, 임플란트와 교합할 밑의 치아가
정출된 상황이기 때문에
교합을 맞춰주기 위해서는
밑의 어금니를 크라운으로
씌워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작은 어금니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
교합되는 밑의 어금니 크라운 제작
진행 과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임플란트 식립 단계

어금니 발치를 진행한 후
임플란트를 식립합니다.
상기 예시 사진으로는
픽스처가 옆 치아에 겹쳐서 보여집니다.
이런 경우에는 더 정확하게
위치관계를 파악해주기 위해
작은 엑스레이 사진 (PA, 스탠다드) 을
찍습니다.

작은 엑스레이 사진을 보면, 잘 식립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식립된 픽스처와 치조골이
골융합이 잘 되도록 기다립니다.
회복 기간 후

골 융합이 잘 되었다면
임플란트 보철을 올려줍니다.
정출되었던 이도 크라운으로
교합이 잘 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윗니와 아랫니가 잘 물리게 하는 것은
기공이 잘 된 보철과
꼼꼼한 교합조정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심은 뒤에는 적응기간에
딱딱한 음식을 씹기 보다는
연한 음식부터 시작하여
점차 다양한 음식으로 적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가 없는 곳을 계속 방치하게 되면
주변 이들이 쓰러지고
대합될 치아가 정출되어
나중에 치료할 때에는 오히려 주변 이들이
치료계획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를 미루기보다는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셔서
우선 검진을 받아보시길 권유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