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가 시리거나 찬물을 못 마시는 이유는? 치경부 마모증 원인과 개선 과정
안녕하세요, 조승기 원장입니다.
우리의 입 안에는 치아도 있지만,
그 밑에서 치아를 받쳐주는
잇몸도 있습니다.
잇몸에도 다양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나이가 있으신 분들에게서
가장 자주 나타나는 잇몸질환은
치경부마모증입니다.
치경부 마모증 (Cervical Abrasion) 이란?
치아의 목 부분이라고 불리는 잇몸 경계부 쪽이
패이는 증상을 말합니다.
치경부 마모증 이 나타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① 잘못된 양치질로 패이는 경우
좌우로 잇솔질을 하는 횡마법으로
세게 닦는다면 이가 패이게 됩니다.
② 과한 교합력에 의해 굴곡파절이 되는 경우
교합력이 치아 목 부분에 전달되는
이를 악무는 습관, 이갈이로
치아가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입니다.
③ 식습관에 의한 경우
김치와 나물과 같이 섬유질로 구성된 음식이나
질긴음식, 딱딱한 음식을 먹을 때
이를 옆으로 갈면서 저작하게 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④ 치주질환으로 인한 경우
치주질환은 잇몸이 서서히 내려가게 만들게 되며,
잇몸이 밑으로 내려가게되고
뿌리가 드러나서 마모가 일어나게 됩니다.
치경부마모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많이 하는 방법은 해당되는 곳을 떼우는 것입니다.
주로 레진이라는 재료로 진행됩니다.
그러나 패인 깊이가 깊고 큰 경우에는
치수를 침범하게 되기 때문에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까지 해줘야 됩니다.
예시 사진을 보며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시 사진을 관찰하면
문제점이 보여집니다.

상기 예시 사진을 보면
전체적으로 치경부쪽이 패여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이 시림을 느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시림이 심한 경우에는 찬물도 제대로
마시지 못하기도 합니다.
동그라미로 표시한 곳이
패인 곳이 꽤 큰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렇게 심각한 경우에는
가만히 있어도 시리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시림을 판단할 때는 3-way syringe로
바람을 불어 검사하며,
정상 치아라면 괜찮겠지만
치경부마모증이 있다면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있습니다.
이가 패인 곳이 크고 깊어서
교합력에 쉽게 파절되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렇게 되면 치아 상실로 이어지게 되어
임플란트나 브릿지로 진행해야되기 때문에
더 큰 치료를 하게됩니다.


병소의 경계부가 잇몸 밑으로 있는 경우(치은연하)
제대로 된 수복을 해 주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그 곳을 덮고 있는 잇몸 일부를 제거하는
잇몸절제술을 진행합니다.



뿌리 끝에서부터 근관길이를 정확히 측정해서
진행합니다.

신경치료를 완료 한 뒤에는
코어를 해 주고, 크라운 보철을
만들어 올려줍니다.
전체적으로 치경부마모증이 있는 곳은
레진으로 수복해줍니다.

이가 찌릿하거나 시려서
음식을 잘 못먹고 계시다면
늦어질 수록 더 큰 치료를 하게 될 수 있으니
가까운 치과에 방문하셔서
우선 검진을 받아보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